본문 바로가기
SpringFrameWork

구글 플레이 콘솔에서 해결 안 되는 문제들 때문에 몸져 누움

by applejune 2023. 3. 17.

구글 플레이 콘솔에서 등록하는 와중에 두 가지 큰 문제에 봉착했다. 

 

1. 테스터 모드가 떠서. 아무리 해도 테스터 모드가 이해가 가지 않았다. 

앱을 실행하기 전에, 주변에 테스트를 해 봐서 이상 없는 지 한번 더 확인 절차를 걸치는 것이다. 

내 어플은 좀 간단한 어플이라서 그 정도까지 할 필요는 없는데, 확인 절차를 해야 하는데, 

abb 파일만 받는 건 이해하는데, 새로은 abb파일을 요구하고 있었다. 

이리저리 검색해보니, abb파일을 면밀히 인공지능 분석을 하는 것 같았는데, 이 단계를 통과하는 것이 까다로웠다 

그래서 포기. 하지만 소득은 있었다. 

어찌저찌하다가 포기할려는 찰라, 다시 한번  해보니 임시 --> 검토 중으로 변환된 것을 볼 수 있었다. 

테스트 모드에서 에러 표시가 나더 계속 다음을 누르니, 어느 순간 되는 것이었다. 휴우~~ 

 

이 문제로 어플 등록하는 생고생하는 페이지를 많이 볼 수 있었다. 

무료 어플인데도, 이 고생인데, 유료에 과금 어플을 만드는 것은 산 너머 산일 수 있다 

게다가 admob 생성만 해도 언덕을 한 두어 개는 더 넘어가야할 듯 싶었다 

 

 

참고 :  브런치에서 상세히 테스터에 대해서 설명해진 분

 

https://brunch.co.kr/@shindesign/107

 

안드로이드 앱 베타 테스트 하기

큰 회사라면 사내 배포 시스템이 있어서 링크 형태로 앱을 배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, 구글 플레이에서도 테스트용 앱을 배포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제공한다. 1. 내부 앱 공유 https://support.g

brunch.co.kr

 

 

2. 유료 어플의 경우, 결제 환불 취소 문제

 

나와는 상관은 없는 문제라고 여겼다. 무료 어플이기 때문이다. 근데 언젠가는 이 부분도 다뤄야할 듯 싶었다. 메뉴에 똭하니 버티고 있었다.

구글링을 통해서 이것저것 만지고 있는데, 이 과금은 나와 상관 없는 문제이기에, 패스했다. 

근데 무료 어플을 만드는데, 왜 나한테 '결제프로필'을 묻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. 아마 아주 미미한 광고 수익을 전해주려나 싶었다. 

 

하여간 세세하게 고려할 부분이 많았다. 이 부분 해결하는데 1박 2일이 걸린다. 

 

https://jooeungen.tistory.com/entry/%EA%B5%AC%EA%B8%80-%ED%94%8C%EB%A0%88%EC%9D%B4%EC%BD%98%EC%86%94-%EC%8B%A0%EC%9B%90-%ED%99%95%EC%9D%B8-%EC%A7%80%EC%97%B0%EC%9C%BC%EB%A1%9C-%EC%9D%B8%ED%95%9C-%EA%B2%B0%EC%A0%9C-%EA%B3%84%EC%A0%95-%EC%A7%80%EA%B8%89-%EB%B3%B4%EB%A5%98-%ED%95%B4%EA%B2%B0%ED%95%98%EA%B8%B0

 

[구글/플레이콘솔] 결제 프로필상 본인 확인 지연으로 인한 결제 계정 지급 보류 해결하기 - 해결

부가세 신고하러 오랜만에 구글 플레이콘솔에 접속했다가 깜짝 놀랐다 .. 2022년 11월 15일에 처리한 신원 확인 관련 에러메세지가 아직도 해결이 안되었기 때문 .. 아 구글 넘들 .. 1) 구글 플레이

jooeungen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https://wp.swing2app.co.kr/knowledgebase/playstore-apprelease/

 

플레이스토어 앱 출시하기 – 스윙 도우미

*플레이스토어 앱 등록을 위해서는, 먼저 구글 개발자 계정을 만들어주셔야 합니다. 해당 사이트에서 계정을 등록한 뒤, 이용료 25$ 를 결제해주세요.(한번 결제시 평생 이용) 결제가 완료 된 후

wp.swing2app.co.kr

 

 

 

3. 구글 정책인 앱 번들 만들기

 

사실 간단한 앱 번들 만드는데, 컴퓨터 사양은 큰 걸 요구하고 있다. 최신 게이밍 노트북 이상은 되야할 듯 싶다. 램은 최소 8기가 이상은 되어야 쾌적하게 돌아간다. 

그 이유는 구글이 강제적으로 앱 번들을 추진하고 있다. 앱 번들이란 무엇인가. 요즘 모니터나 스크린, 스마트폰이 규격화 되어 있지 않고 사이즈가 제각각이다. 각종 저 사양에서 고 사양 컴퓨터, 스마트폰, 각종 브랜드의 CPU 까지 다 돌아가게끔 하려면 이미지는 이미지대로 코드는 코드 대로 최적화되어 돌아가게 하는 '앱 번들'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고. 

앱 개발자들은 이 '앱 번들' 정책을 그대로 따라가야 하는 것이다. 

유니티만 해도 SDK, JDK 등 각 버전이 맞아야 맞물려 돌아간다. 하여간 세팅도 1박 2일 걸리고, Deploy도 1박 2일 걸린다. 

오히려 간단한 어플 제작이 더 쉬울 수도 있겠다. 

 

참고 ; 유튜브

 

https://youtu.be/H6LonipcguI

 

'Spring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(error)dependencies artifactid cannot be empty  (0) 2022.08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