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27

Promise ; 콜백함수 Promise ; 주문했을 때, 실패하거나 성공되었을 때 결정하는 콜백 함수 성공, 실패 const pr = new Promise((resolve, reject)=> { }); new Promise 는 스테이트와 리절트를 property로 받는다. state : pending (대기) result : undefined ------ resolve(vlaue) 가 되면, state : fulfilled(이행됨) result : value ------reject(error) 이 되면, state : rejected(거부됨) result : error 모델식 const pr = new Promise ((resolve, reject)=> { setTimeout(()=> { resolve('OK') }, 3000).. 2022. 10. 2.
Class ; 생성자 오버라이딩 생성자에 네비게이션을 추가한다 class Car { constuctor(color) { this.color=color; this.wheels =4; } drive() { console.log("drive.."); } stop() { console.log("stop.."); } } class Bmw Extends Car { constructor(color) { super(color); this.navigation=1; } park() { console.log("park"); } } const z4=new Bmw("blue"); 2022. 10. 2.
class ; 메소드 오버라이딩 Class ; 메소드 오버라이딩 Car에 있는 메소드와 동일한 이름의 메소드가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? Car에 있는 stop와 똑같은 스톱을 추가해봅니다. 동일한 이름으로 넣으면 덮어쓰게 된다. class Car { constuctor(color) { this.color=color; this.wheels =4; } drive() { console.log("drive.."); } stop() { console.log("stop.."); } } class Bmw Extends Car { park() { console.log("park"); } stop() { console.log("OFF"); } } const z4=new Bmw("blue"); 부모의 이름을 쓰면서 그대로 확장하고 싶으면 어떻게 될까? s.. 2022. 10. 2.
Class ; 상속 생성자 함수의 경우 prototype을 활용해서 상속했다면 Class의 경우 extends를 활용해서 상속한다. class Car { constuctor(color) { this.color=color; this.wheels =4; } drive() { console.log("drive.."); } stop() { console.log("stop.."); } } 클래스에서는 extends를 활용해서 상속 class Bmw Extends Car { park() { console.log("park"); } } const z4=new Bmw("blue"); 2022. 10. 2.